
(감정) 혐오는 혐오로 되돌아온다.
2023. 6. 20. 21:07
심리학
자기는 상대에 대해 실컷 욕을 하고 다니면서도 정작 상대가 자신의 욕을 하고 다닌다는 소리를 들으면 성질을 내는 것이 사람이다. 당연히 욕을 먹어 싼 사람이 상대가 자기 욕을 한다고 되려 더 큰 체를 하는 경우도 있다. 연애하다가 차버린 사람이 상대가 욕하고 다니는 것을 견디지 못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상대방의 마음에 상처를 남겼으면 욕먹어 싼 것인데 그것조차도 견디지를 못한다. 이런 사람들일수록 자기가 차버린 사람이라도 늘 자기만을 바라보며 살기를 원한다. 차버린 상대가 행복해질 듯하면 괴로워하고 고민한다. 참 황당한 이야기이지만 이런 사람들 상당히 많다. 이런 사람들이 잊고 있는 것이 있다. 내가 싫어하면 상대도 싫어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는 것을 사회심리학에서는 이런 현상을 보통 혐오의 보..

(비교) 비교만 안 해도 참 행복하다.
2023. 6. 20. 20:35
심리학
아무리 친한 관계라도 비교당하면 어느 한쪽은 상처를 입는다. 이것은 세상에서 가장 가까운 관계인 부부라도 예외는 아니다. 요즘 우리나라는 맞벌이 부부가 많아졌다. 생활이 팍팍하다 보니 외벌이로써는 생활이 힘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맞벌이 부부가 마음 편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사회가 결코 아닌 모양이다. 전업주부 가정에서라면 아무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 맞벌이 부부 가정에서는 심한 스트레스를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가령 맞벌이 부부들의 상당수가 부부간의 수입 차이로 인해 불만이나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다는 것이 좋은 예이다. 이런 것으로 스트레스를 느낀다는 것은 전업주부 가정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이기 때문이다. 2008년 5월 13일 인크루트가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

(수용) 결점을 받아들여라.
2023. 6. 20. 20:04
심리학
엘리노어가 불행한 어린 시절을 통해 얻은 첫 번째 교훈은 자기가 결코 매력적이지 않다는 것을 자각하고 받아들인 것이다. 이러한 결점을 스스로 인정하고 받아들인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외모에 민감한 나이 어린 여자아이로서 자기가 매력적이지 않다는 것을 일찌감치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일은 만만한 일이 결코 아니다. 우리의 관계를 꼬이게 하는 가장 큰 이유의 하나는 바로 자신의 결점을 인정하지 않는 데에 있다. 우리는 자신의 결점을 인정하고 받아들이기는커녕 그것이 결점이라는 것조차 이해 못하고 태연스레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 왕자병, 공주병이라는 말에서 보듯이 이러한 것들이 우리의 관계를 꼬이게 함은 물론이다. 가령 얼굴이 좀 안 생긴 친구를 생각해보자. 이 친구가 자기의 용모가 좀 떨어진다는 ..

(공평) 불공평 감이 없어야 관계가 회복된다.
2023. 6. 20. 19:31
심리학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공정하다 " 라든지 "공정하지 않다"라는 표현을 자주 쓴다. "그 재판은 공정하지 않았다.", "공무원 시험의 채점방식은 공정했다.”, “그 거래는 공정하다."라는 식으로 사회적인 사건이나 행동을 평가할 때, 공정하다는 말이 특히 자주 사용된다.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공정이라는 말이 자주 쓰인다는 것은 우리의 행동이나 관계에서 공정이라는 것이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예증이기도 하다. 우리는 무엇인가가 공정하다고 판단되면 안도하고 만족한다. 반대로 무엇인가가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되면 분노하고 좌절한다. 어찌 보면 자신과 직접적인 관련이 먼 사회적인 사건에조차 이러한 식의 반응을 보여주는 우리들이다. 우리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깊고 자기의 금전적, 심리적 이익에 결정적인 영향을 줄 ..

(인상) 인상은 어떻게 형성될까?
2023. 6. 20. 19:00
심리학
우리는 사람과 마주한 상황에서는 상대에 대해 어떤 인상을 형성하여 그것을 그 사람에 대한 판단의 기준으로 삼는다. 사람이란 직접 만나는 사람뿐만이 아니라 길을 걸어가는 사람들과 같이 자기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사람의 행동을 보고서도 인상을 형성하기도 한다. 그리고 그 인상을 바탕으로 하여 그 사람의 성격을 판단하는 것은 물론 그 사람이 앞으로 이런 식으로 행동할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 물론 이러한 추측은 대부분 맞지 않고 이런 것들이 우리들의 관계를 어렵게 할 때가 적지 않다. 가령 우리가 길을 가다 말쑥하게 차려입은 샐러리맨이 대취해 소리를 고래고래 지르고 있는 모습을 보았다고 생각해보자." 저거 뭐야. 별 이상한 사람 다 있네."라고 그냥 지나칠 수도 있다. 하지만 웬만한 사람들이라면, "왜 ..